고도비만
  • 고도비만수술센터
  • 고도비만
  • 수술 및 검진안내
  • 진료안내
  • 커뮤니티
합병증과 위험성
  • 고도비만 정의
  • 진단기준
  • 합병증과 위험성
  • 치료방법
합병증과 위험성

비만의 위험성

비만은 단순한 체중의 문제가 아니라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질환, 근 골격계 질환, 호흡기 질환, 생식기 질환과 각종 암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주요한 원인으로 반드시 근본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비만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들

대사합병증

호흡기 합병증

위장관계 합병증

위장관계 합병증

생식기 합병증

생식기 합병증

근 골격계 합병증

각종 암

비만으로 인한 각종 질병 위험 증가

비만은 건강한 일반인에 비하여 사망률을 55% 증가시키는 매우 위험한 질병입니다.

심혈관 질환의 발병위험이 70% 증가합니다.

뇌졸증 발생 위험은 75%까지 증가합니다.

제 2형 당뇨병의 경우 발병 위험이 400% 까지 상승합니다.

대부분 고도비만 환자들은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질환을 동반하고 있습니다.

비만을 근본적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이러한 질환들이 치료되기는 어렵습니다.

사망률

55% 증가

건강한 일반인에 비해
사망률 55%증가

심혈관 질환

70% 증가

심혈관 질환
발병위험 증가

뇌졸중

75% 증가

뇌졸중
발생위험 증가

당뇨병

400% 상승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 상승

고도비만으로 인한 사망률 증가

여러 대규모 연구들에서 고도비만 환자의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미국 국립 암연구소 보고에 의하면 체질량 지수 40이상의 고도비만의 경우 일반 성인에 비하여 기대수명이 최대 14년 단축된다는 연구를 보고 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망원인은 심잘 질환, 암, 당뇨 가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의 연구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고도비만 환자의 경우 정상인에 비하여 사망률이 1.6배 증가합니다.

따라서 비만을 치료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생존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치료 목적입니다.

  • 전체
  • 남자
  • 여자

UW: 저체중 / NW: 정상 / OW: 비만병전단계 / OB1: 1단계 비만병 / OB2: 2단계 비만병 / OB3: 3단계 비만병

전체 사망률

1.61배 증가

암 사망률

1.45배 증가

순환계통 사망률

2.44배 증가

고도 비만환자의 사망률 증가를 보여주는 국개 비만 보고 자료 (2004 Obesity fact sheet)